안녕하세요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다 보면 종종 실수로 상호, 사업자번호, 금액, 작성일자 등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있어요.특히 이미 국세청에 전송까지 완료된 세금계산서라면 단순히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당황하시곤 하죠.이럴 땐 당황하지 말고, ‘기재사항 착오정정’ 사유로 수정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됩니다.오늘은 WEHAGO 전자세금계산서 시스템을 이용해 기재사항 착오정정 사유에 따른 수정세금계산서 발행 절차와 주의사항까지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실수한 세금계산서, 정확하게 바로잡는 법! 지금 시작합니다 💡 📌 기재사항 착오정정이란?기재사항 착오정정이란,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때 사업자번호, 상호, 품목, 주소, 작성일자, 공급가액, 세액 등 필수 기재사항을 잘못 입력한 경우이를 ..
국세청 전송되었거나, 거래처에서 확인 처리한 (세금)계산서는 수정 사유에 따라 수정 (세금)계산서로 발행해야 합니다.1. 발행사유에 따른 수정세금계산서 항목발행 사유에 따른 수정세금계산서 항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 수정세금계산서란?수정세금계산서는 이미 발행 및 국세청 전송된 세금계산서에 대해기재사항 오류, 금액 변동, 계약 해제, 반품 등 일정한 사유가 발생했을 때국세청이 정한 기준에 따라 정정 또는 취소, 재발행을 위해 작성하는 세금계산서입니다.국세청은 단순한 실수로 인해 기존 세금계산서를 삭제하거나 무단으로 수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법적 인정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수정세금계산서 발행이 가능합니다.✅ 수정세금계산서가 필요한 경우는 총 6가지로 분류됩니다.📍 1. 기재사항 착오..
1. 역발행 세금계산서 승인(발행)하기세금계산서 조회 메뉴에 들어와 작성일자를 설정 후 검색을 합니다.① 발행요청 세금계산서를 체크하여 하단의 발행을 누르거나, 세금계산서를 클릭하면 상세내역 확인 후 발행 하실 수 있습니다.전체조회권한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역발행 세금계산서 조회 및 발행 처리 가능합니다. ※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에서 역발행 세금계산서가 조회가 안되는 경우(참고) 전자세금계산서 권한설정 이용가이드사용자환경설정 > 권한설정 > 해당 직원을 선택하여 '전체 조회권한'으로 변경 후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 매출조회에서 해당 건을 검색해서 발행해주시면 됩니다. ② 과금설정 선택 후 확인을 눌러 발행합니다.매입자가 매입자부담으로 발행요청 시, 포인트 차감 없이 (0point) 발행..
WEHAGO 로그인 이후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 아이콘을 실행합니다.(거래처 관리는 거래처관리 서비스에서 가능합니다.) 2. 세금계산서 발행정보 입력 (양식발행)좌측 상단의 [세금계산서 발행] 메뉴로 들어옵니다.우측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양식발행/간편발행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① 공급받는자 등록번호 칸에 입력하여 거래처를 검색하고 거래처 및 담당자, 과세유형을 선택합니다.(최소 2글자 입력 후 검색결과를 확인 합니다. ※ Enter를 누르면 검색결과가 사라집니다.)담당자가 1명인 경우 자동반영 되며 2명 이상인 경우 담당자 아이콘을 선택하여 담당자를 반영합니다.(최대 2명 선택 가능) ② 품목정보를 입력합니다. 엔터(Enter) 또는 방향키로 칸 이동을 합니다.품목은 직접 입력도 가능하며, 품목명 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