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블로거·인플루언서용 국세청 홈택스 신고 가이드

    (종합소득세 및 부가가치세 신고 기준 / 2025년 기준 최신화)


    Ⅰ.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5월 신고기간 기준)

    📍1단계 : 로그인 및 신고 메뉴 진입

    • [홈택스 메인화면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근로 외 소득자용)]
    • 공동인증서, 간편인증(카카오·PASS 등) 으로 로그인 가능.
    • “단순경비율 대상자”인지 “기준경비율 대상자”인지에 따라 신고서 구성이 달라집니다.
      • 블로거의 경우 보통 기준경비율 또는 간편장부 대상자에 해당.

    📍2단계 : 소득유형 선택

    항목선택 예시설명
    소득종류 선택 사업소득(프리랜서 포함) 네이버 애드포스트, 유튜브 광고수익, 협찬 등
    업종코드 입력 940909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일반적인 블로거용 업종코드
    사업자등록 여부 O or X 선택 사업자등록 미등록 시 “무등록자”로 진행 가능

    💡 참고:

    • 애드센스·애드포스트 등 반복적 수익이 있다면 “사업소득”으로 선택.
    • 단발성 수익이라면 “기타소득” 항목으로 선택 가능(단, 금액이 작을 때만).

    📍3단계 : 수입금액 입력

    입력항목입력 예시설명
    총수입금액 12,000,000 한 해 동안 입금받은 총액(원화 환산 포함)
    필요경비 5,000,000 장비, 도메인, 통신비, 촬영비 등 실제지출액
    소득금액 자동계산(7,000,000)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증빙 팁:

    • 경비는 통장출금내역, 카드영수증, 세금계산서 등으로 증빙 가능.
    • 장비(카메라, 노트북)는 감가상각으로 일부만 경비처리 가능.
    • 경비 입증이 어렵다면 단순경비율(예: 60%) 적용 가능.

    📍4단계 :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입력

    항목주요 내용비고
    기본공제 본인, 부양가족 주민등록등본 기준
    연금보험료 공제 국민연금 납입액 자동불러오기
    건강보험료 실제 납부액 수동입력 가능
    신용카드 사용액 자동조회 일부 공제 가능
    소규모창업자 세액감면 신규 창업 시 50~100% 감면 ‘1인미디어창작자’ 가능 대상

    💡 절세 팁:

    • ‘1인미디어창작자’ 업종으로 창업 후 5년간 세액감면(최대 50%) 가능.
    • 홈택스에서 ‘감면대상 여부 자동판정’ 기능 지원 → “감면 신청” 체크.

    📍5단계 : 납부세액 확인 및 전자납부

    • 신고서 마지막 단계에서 자동계산된 세액 확인.
    • “납부할 세액”이 0원 이하이면 납부 없음.
    • 납부방법: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토스·네이버페이) 가능.
    • 신고서 제출 후 “접수증” PDF를 반드시 저장.

    Ⅱ. 부가가치세 신고 절차 (매년 1·7월 신고 / 일반과세자 기준)

    📍1단계 : 신고 메뉴 진입

    • [홈택스 →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 정기신고(일반과세자)]
    • 매출 4,800만 원 초과 또는 사업자등록 일반과세자만 대상.

    📍2단계 : 매출내역 입력

    구분항목입력예시설명
    과세매출 국내 광고수익 15,000,000 네이버·협찬 광고수익
    면세매출 해외수익 5,000,000 구글애드센스 등 국외매출
    합계 총매출 20,000,000 자동계산

    💡 주의:

    • 해외에서 받은 수익(예: Google AdSense)은 면세 또는 영세율 대상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 홈택스에서는 “수출실적명세”를 별도 입력해야 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매입내역(비용) 입력

    항목예시입력 포인트
    일반매입 노트북, 카메라, 장비 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 필수
    면세매입 도메인, 클라우드 등 증빙 없으면 제외
    공제받을 매입세액 자동계산 부가세 신고의 핵심 항목

    팁: 매입세액공제를 잘 활용하면 납부세액이 0원이 되거나 환급이 가능합니다.
    예: 카메라 300만 원 구입 시 부가세 30만 원 → 공제 가능.


    📍4단계 : 신고서 검증 및 제출

    • 홈택스가 자동으로 계산 후 “납부세액” 표시.
    • 납부는 계좌이체·카드 결제·즉시이체 가능.
    • “신고서 접수증” 및 “부속명세서(PDF)” 반드시 저장.

    Ⅲ. 실제 입력화면 주요 항목 요약 (2025 홈택스 개편 UI 기준)

    화면구역입력항목설명
    상단 메뉴 소득구분, 업종코드 사업자등록 유무에 따라 자동표시
    중간 입력란 총수입금액, 필요경비, 경비율 경비율 선택 또는 직접입력 가능
    우측 계산창 종합소득금액, 세율, 산출세액 실시간 자동 계산
    하단 체크박스 감면·공제 선택 창업자 감면, 외국납부세액 공제 등
    제출 후 팝업 전자신고 접수증, 납부서 출력 신고 완료 증빙용 필수 저장

    Ⅳ. 실무 절세 포인트 정리

    1. 사업자등록 필수 시점
      • 반복적 광고수익 발생 → 사업자등록 후 사업소득으로 관리.
    2. 매입세액 공제 관리
      • 장비구입, 광고비, 플랫폼 수수료 등 모든 증빙 확보.
    3. 부가세 신고 시 유리한 구조
      • 면세수익(해외수익) 비중이 크면 납부세액 줄어듦.
    4. 종합소득세 신고 시 감면 활용
      •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신청 필수.
      • 홈택스 자동판정 기능 활용하면 실수 예방 가능.
    5. 통장·카드 분리
      • 사업용 계좌와 개인용 계좌 분리 → 경비 입증 및 추후 세무조사 대비.

    Ⅴ. 예시 시뮬레이션 (실제 입력 기준)

    항목금액(원)
    총수입금액 20,000,000
    필요경비 8,000,000
    소득금액 12,000,000
    기본공제(1인) 1,500,000
    과세표준 10,500,000
    산출세액(6%) 630,000
    창업감면(50%) -315,000
    최종 납부세액 315,000원

    💬 결론:
    사업소득 신고로 전환했더라도 감면 및 공제를 활용하면 실제 부담세액은 총수입의 1~3% 수준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Ⅵ. 정리

    구분신고시기주요항목주의사항
    부가가치세 1월·7월 매출·매입세액 매출누락 방지
    종합소득세 5월 수입금액·경비·공제 사업자감면 신청
    필요서류 통장내역, 카드내역, 영수증 증빙누락 주의  
    절세전략 감면신청, 매입세액공제 계좌분리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