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실무자 여러분 😊
직원이 퇴사하면 바로 해야 하는 행정 업무!
바로 사회보험 자격상실 신고 및 이직확인서 작성입니다.
오늘은 WEHAGO SmartA 10 프로그램을 통해 퇴사자의 사회보험 신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실무 중심으로 안내해 드릴게요.
실제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메뉴별 기능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
📌 자격상실 신고란?
퇴사한 근로자가 더 이상 4대 보험 대상이 아님을 공단에 알리는 절차예요.
해당 신고를 통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 자격이 정지됩니다.
✅ 이직확인서 작성은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필수 서류이기도 하죠!
📥 입력 방법
🔸 1. 자격상실신고서 탭
✅ 퇴사자 선택
- F2 또는 C 아이콘 클릭 → 퇴사한 사원 선택
✅ 보험 구분 선택
- 상실 대상 보험 항목에 체크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체크된 항목만 신고서 및 인쇄물에 반영
✅ 보험별 세부 입력
보험종류입력항목
| 국민연금 | 연금란 체크 후 관련 내역 입력 |
| 건강보험 | 건강란 체크 후 연간보수총액, 근무개월 입력 |
| 고용/산재보험 | 고용 및 산재란 선택 후 관련 항목 입력 |
💡 건강보험 연간보수총액 & 근무개월 수는 필수 입력 항목!
🔸 2. 이직확인서 탭
✅ 퇴사자 불러오기
- 동일하게 F2 또는 C 아이콘으로 사원 선택
✅ 필수 입력 항목
항목설명
| 자격취득일 | 입사일 기준 자동 입력 |
| 이직일 | 퇴사일 입력 |
| 이직사유 | 퇴직 코드 선택 (권고사직, 자발적 퇴사 등) |
✅ 급여 내역 자동 반영
- 화면 하단의 급여/근무일수는 급여자료입력 메뉴와 연동
- 수동 수정도 가능하니 확인 필요!
🛠 기능모음 (실무자 꿀기능)
기능명설명
| 🏢 사업장정보 | 등록된 사업장 정보 불러오기 |
| 📥 불러오기 | 선택한 퇴사월의 퇴사자 및 관련 급여 데이터 자동 반영 |
| 📘 작성요령 | 입력 항목별 작성 가이드 확인 가능 |
🔔 실무 팁 & 참고사항
✔ 자격상실신고 시 주의사항
-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과태료 없음
- 보험사별 제출 기한이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
✔ 이직확인서 발급 필수 대상
- 실업급여 신청 예정자는 반드시 이직확인서 제출 필요
- 고용노동부 EDI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도 업로드 가능
✅ 마무리 체크리스트
- 퇴사자 자격상실 대상 보험 모두 체크했나요?
- 연간 보수총액, 근무개월 수 정확히 입력했나요?
- 이직사유 및 퇴사일 올바르게 입력했나요?
- 이직확인서 제출 대상자인지 확인하셨나요?
💬 마무리
퇴사자 발생 시 즉시 처리해야 하는 사회보험 자격상실신고와 이직확인서.
WEHAGO SmartA 10을 통해 손쉽게 신고하고, 불필요한 과태료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해보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질문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