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인사·노무 담당자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사회보험 탈퇴 관련 실무 꿀팁을 준비했어요. 😎
바로 WEHAGO SmartA 10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사업장 탈퇴 및 관계소멸 신고서’ 작성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폐업, 통합, 휴업 등으로 사회보험 관계를 정리할 때 꼭 필요한 기능이니
끝까지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 왜 ‘관계소멸신고서’가 필요할까요?
회사에 1명 이상의 근로자가 있다면, 4대 보험에 필수 가입되어 있어야 하죠.
그런데 만약 아래와 같은 상황이 생긴다면?
- 회사가 폐업했다면?
- 다른 회사와 합병됐거나, 휴업하게 됐다면?
이럴 경우, 사회보험 관계를 종료해야 하는데요.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 **‘사업장 탈퇴 및 관계소멸 신고서’**입니다.
💡 입력방법 한눈에 보기
🖥 WEHAGO SmartA 10 > [사회보험] > [사업장 탈퇴 및 관계소멸] 메뉴에서 작성합니다.
📌 ❶ 사유발생일자 입력
- 폐업일, 휴업일, 통합일 등 관계가 종료된 실제 날짜를 입력합니다.
- ❗ 이 날짜가 빠지면 저장 자체가 안 되니 꼭 입력하세요!
예시: 2025년 9월 1일 폐업 → [사유발생일자]에 2025-09-01 입력
📌 ❷ 신고사유에 따른 신고서 자동 체크
- 사유를 선택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 등 관련 신고서가 자동 체크돼요.
- 단, “기타” 사유 선택 시에는 직접 체크해야 하니 주의!
🛠 편리한 기능(기능모음)도 꼭 활용하세요!
✅ ❶ 사업장 정보
- 기존에 등록된 회사 정보 자동 불러오기
- 만약 사업장 정보가 수정되었다면 [새로 불러오기] 버튼 클릭!
✅ ❷ 새로 작성
-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많다면 초기화하고 새로 입력하세요.
- 버튼 하나로 깔끔하게 시작할 수 있어요.
✅ ❸ 작성요령
- 메뉴 우측 상단의 ‘작성요령’을 클릭하면 공식 안내서를 볼 수 있어요.
-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완전 유용! 💯
🧾 참고사항 꼭 확인하세요!
✳ 확정보험료 계산
- 보험관계 종료일까지 임금 총액 × 보험요율로 산정
예시:
지급임금 총액 5,000만 원, 보험요율 2% → 확정보험료 = 100만 원
✳ 월평균 상시근로자 수
- 해당 연도 매월 말일 기준 근로자 수의 합 / 근무한 달 수
✳ 임금총액
- 연도 중 지급했거나 지급 예정인 모든 임금의 총액
✅ 마무리 체크리스트
체크 항목완료 여부
| 사유발생일자 입력했나요? | ✅ |
| 신고사유 체크했나요? | ✅ |
| 사업장 정보 불러왔나요? | ✅ |
| 확정보험료 및 임금총액 계산했나요? | ✅ |
🎯 결론: 놓치지 마세요! 관계소멸신고는 실무 핵심 업무
사회보험 탈퇴는 단순한 행정처리가 아닙니다.
근로자 정보, 임금총액, 보험료 산정 등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입력하고 신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WEHAGO SmartA 10을 통해
간편하고 빠르게 관계소멸신고서를 작성하고
꼼꼼히 마감까지 완료해보세요. 👍
🔎 궁금한 점이나 실제 사용 중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시지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