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실무자 분들이 자주 처리하게 되는
“기준소득월액 변경신고”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특히 인사·급여 변경이 많은 시기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의 기준보수액을 빠짐없이 변경신고해야 하는데요,
WEHAGO SmartA 10을 활용하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기준소득월액 변경이란?
직원의 급여가 인상·인하되거나, 착오가 있어 정정할 경우
사회보험료를 책정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인 기준소득월액도 함께 변경해줘야 해요.
📌 매년 정기변경(7월) 외에도, 수시 변경이 가능합니다.
📁 작성 경로
WEHAGO SmartA 10 > 사회보험 > [소득월액 변경신고] 메뉴
🖊 입력방법 요약
📌 ❶ 고용/산재보험
- 변경 후 월평균보수: 변경된 금액 입력
- 예: 2,800,000 → 3,100,000원
- 적용 시점: 신고한 달의 다음 달부터 적용돼요.
- 변경사유: 보수인상, 보수인하, 착오정정 등 입력
- 일자리 안정자금 여부: 해당될 경우 체크
💡 월평균 보수 계산 팁:
- 전년도 10월 이전 입사자:
전년도 보수총액 ÷ 근무개월수- 신규 입사자:
1년간 계약된 보수총액 ÷ 근무개월수
📌 ❷ 국민연금
- 현재 기준소득월액 vs 변경 기준소득월액 비교 입력
- 근로자 동의 여부: 변경 시 근로자 동의 필수 → 여 선택
📌 ❸ 건강보험
- 변경 후 보수월액:
비과세 수당(직급보조비 등)도 포함해서 입력해야 해요. - 보수변경월: 실제 변경된 급여 적용월을 입력
- 예: 급여 인상일이 9월 → 보수변경월: 2025년 9월
- 변경사유: 승진, 보수인상, 정정 등
🛠 편리한 기능모음 활용법
✅ ❶ 사업장 정보
기존 등록된 사업장 정보 불러오기
✅ ❷ 보수월액 가져오기
급여자료입력 or 사원등록 메뉴에서 자동 불러와요.
초기값 입력 시 유용!
✅ ❸ 인쇄옵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 중 필요한 보험만 선택 인쇄
✅ ❹ 변경사유 일괄 변경
여러 명을 한 번에 처리할 때 유용한 기능!
선택한 사원 전체의 변경사유를 한번에 수정 가능해요.
❗ 꼭 기억하세요
항목주의할 점
| 적용시기 | 신고한 달의 다음 달부터 적용 |
| 국민연금 | 근로자 동의 필수 |
| 건강보험 | 비과세 수당도 보수월액에 포함 |
| 산재보험 | 정확한 월평균 보수 입력 |
🎯 마무리 체크리스트
✔ 변경 금액 정확히 입력했나요?
✔ 보수변경월은 실제 인상월인가요?
✔ 국민연금은 동의 여부 체크했나요?
✔ 인쇄 옵션에서 필요한 보험만 선택했나요?
🙋♀️ 결론
급여가 바뀌었는데 사회보험료가 그대로라면?
잘못 신고한 기준소득월액 때문일 수 있어요!
💼 WEHAGO SmartA 10에서 소득월액 변경 신고를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시고, 불필요한 추징이나 과오납을 피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