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 다가오며, 홈택스를 통한 전자신고가 많은 납세자들의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국세청의 홈택스 시스템은 PC와 모바일 앱(손택스) 모두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지원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 간편하게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홈택스를 이용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PC와 모바일로 나누어, 단계별로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PC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
PC에서 홈택스를 통한 종합소득세 신고는 정교하고 복잡한 소득 구조를 가진 납세자에게 적합합니다.
1.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 주소: https://www.hometax.go.kr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선택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5월)] 선택
3. 소득자료 및 경비 확인
- 자동 불러오기된 소득자료 확인 및 누락 시 수동 입력
4. 공제 및 감면 항목 입력
-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공제 항목 입력
5. 신고서 제출 및 납부
- 전자서명 후 제출, 세액 발생 시 결제
6. 신고 결과 확인
- My홈택스에서 확인 및 전자신고 확인증 저장
모바일(손택스)으로 간편하게 신고하는 방법
1. 손택스 앱 설치 및 로그인
- 앱스토어에서 “손택스” 설치, 간편인증 로그인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접속
- 메인화면 →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선택
3. 소득 및 공제 항목 확인
- 자동 수집 소득자료 확인 및 공제항목 입력
4. 신고서 제출 및 납부
- 신고서 제출 후 카드결제 또는 간편이체로 납부
5. 신고 완료 알림 및 확인
- 앱에서 확인 가능, 전자신고 확인증 저장 가능
주의: 복잡한 소득구조는 PC 홈택스를 추천합니다.
인증서와 보안 설정 주의사항
- 공동인증서: 은행, 카드사 발급 / PC, 모바일 각각 설치 필요
- 간편인증: 카카오, 네이버, PASS / 사용 간편
- 모바일 인증서: 손택스 연동 지원
사용 전 인증서 유효기간 확인 및 테스트 로그인 권장
결론: 나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해 정확히 신고하자
PC는 세부 입력에 유리하고, 모바일은 단순 신고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소득 구조에 따라 적절한 플랫폼을 선택해 정확하게 신고하세요. 기한 내 신고는 절세의 시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