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약통장 들어갈 돈을 세금에서 뺀다고?"
"얼마나 공제되나요?"
"언제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
집을 마련하려고 청약통장에 돈을 모으는 분들,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는 거 아시나요?
오늘은 청약통장 소득공제를 최대로 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청약통장 소득공제란? 🎯
개념
청약통장(주택청약저축·주택청약종금)에 넣는 돈을 소득에서 빼주는 혜택입니다.
특징
- 연금저축처럼 소득공제 가능
- 집 마련과 세금 절감을 동시에
-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아닌 조건 있음
청약통장 종류와 공제 한도 📊
주택청약저축 (일반)
공제 한도
- 연 240만원
- 월 20만원씩 12개월
요건
- 5년 이상 가입
- 정기적 납입
세액공제율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40%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40% (우대)
주택청약종금 (장기)
공제 한도
- 연 300만원
- 월 25만원씩 12개월
요건
- 10년 이상 가입
- 정기적 납입
세액공제율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50%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40%
차이점 비교
항목청약저축청약종금| 가입기간 | 5년 이상 | 10년 이상 |
| 월 한도 | 20만원 | 25만원 |
| 연 한도 | 240만원 | 300만원 |
| 공제율 | 40% | 50% (저소득) / 40% |
| 추천 | 단기 주택 구입 | 장기 자산형성 |
실제 공제액 계산 💰
케이스 1: 청약저축, 저소득 직장인
상황
- 연봉: 4,500만원
- 청약통장 월 기여: 20만원 (최대)
- 연간 기여: 240만원
공제 계산
- 소득공제: 240만원 (40% 공제율이 아님!)
- 공제를 통한 절세: 240만원 × 6% (세율) = 14만4천원
케이스 2: 청약종금, 저소득 직장인
상황
- 연봉: 4,500만원
- 청약통장 월 기여: 25만원 (최대)
- 연간 기여: 300만원
공제 계산
- 소득공제: 300만원
- 공제를 통한 절세: 300만원 × 6% = 18만원
케이스 3: 청약종금, 고소득 직장인
상황
- 연봉: 6,000만원
- 청약통장 월 기여: 25만원 (최대)
- 연간 기여: 300만원
공제 계산
- 소득공제: 300만원
- 공제를 통한 절세: 300만원 × 8% (높은 세율) = 24만원
→ 고소득자가 더 많이 절세!
청약통장 공제와 연금저축 비교 🆚
둘 다 할 수 있나?
YES! 동시에 가능합니다
- 청약통장: 연 240만원 또는 300만원
- 연금저축: 연 600만원
- 합계: 연 840만원 또는 900만원 공제 가능
뭐가 더 유리한가?
항목청약통장연금저축| 수익률 | 낮음 (2~3%) | 높음 가능 (주식 펀드) |
| 목적 | 집 마련 | 노후 자금 |
| 인출 | 집 살 때만 | 55세 이후 |
| 세금 | 소득공제 | 소득공제 |
| 만기 | 5년 또는 10년 | 55세 또는 70세 |
실제 선택 전략
추천: 둘 다 하기
- 청약통장: 월 20~25만원
- 연금저축: 월 50만원
- 합계: 월 70~75만원 자산형성 + 절세
예시: 월 70만원 자산형성
- 10년 후 누적: 8,400만원
- 절세: 매년 20
30만원 × 10년 = 200300만원 - 총 이득: 1,000만원 이상!
청약통장으로 집 살 때 세금 혜택 🏡
청약통장 사용 시 주의사항
공제 제외 조건
- 내가 보유한 주택이 있는데 또 사면 공제 탈락 (다주택)
- 무주택 세대주일 때만 공제 가능
- 배우자는 따로 계산
청약통장 사용으로 인한 추가 절세
예시: 청약통장으로 집 구입
- 청약통장: 5,000만원 사용
- 대출: 4,000만원
- 자기자금: 1,000만원
절세 효과
- 청약통장 소득공제 (지난 10년): 연 20
30만원 × 10년 = 200300만원 - 추가 혜택: 전세자금공제(폐지 예정) 등
청약통장 최적 운영 전략 💡
전략 1: 연금저축과 함께 포트폴리오
구성
- 청약통장: 월 20만원 (안정적, 확정수익)
- 연금저축: 월 50만원 (높은 수익률 추구)
- 일반 저축: 월 30만원 (긴급자금)
효과
- 자산 분산
- 세금 절감 (연 1,400만원 공제)
- 노후 + 주택 자금 동시 준비
전략 2: 배우자와 함께 청약통장
상황
- 부부가 각각 청약통장 개설
- 독립적으로 공제 가능
효과
- 남편 청약: 연 240만원 공제
- 아내 청약: 연 240만원 공제
- 합계: 연 480만원 공제 + 절세
전략 3: 급여 흐름에 맞춘 자동이체
구성
- 월급 날: 자동이체로 청약통장에 20만원
- 강제로 모으기 (소비 억제)
- 세금 자동 절감
심리 효과
- 집 마련 목표에 집중
- 절세는 보너스
청약통장 만기와 세금 📅
만기 도래 시 선택지
선택 1: 집을 사서 사용
- 주택담보대출 + 청약통장 사용
- 세금 혜택 + 집 마련 달성
- 가장 좋은 경우
선택 2: 만기 후 다시 가입
- 새 청약통장 개설
- 공제 계속 가능
- 5년 또는 10년 재적립
선택 3: 해지 및 인출
- 집을 못 샀을 때
- 이자 + 원금 수령
- 세금 처리 필요
만기 후 세금 처리
확인할 것
- 이자 수익이 있는가?
- 배로 분배받는 경우 세금 여부
- 다시 가입할 건가?
청약통장 공제 신청 방법 📋
신청 시기
연말정산 때
- 1월~2월 회사 연말정산
- 또는 5월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서류
- 청약통장 증서 사본
- 납입 영수증 (또는 통장 사본)
- 신분증
신청 방법
방법 1: 회사 연말정산
- 홈택스 자료 자동 수집
- 회사에 추가 서류 제출 필수
- 간편함
방법 2: 홈택스 직접 신청
- 홈택스 접속
- 소득공제 항목에 청약통장 입력
- 금액 확인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청약통장 공제를 받으려면 꼭 집을 사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공제를 받고 집을 못 사도 괜찮습니다. 다만 해지할 때 이자 세금 있을 수 있음.
Q2. 이미 집을 가진 사람은 청약통장 공제를 못 받나요? A. 네, 무주택 세대주만 공제 가능. 다주택 소유자는 불가.
Q3. 배우자가 먼저 집을 샀는데 나도 청약통장 공제 받을 수 있나요? A. 배우자도 무주택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각각 계산)
Q4. 청약통장으로 내 돈을 썼는데 세금을 또 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내 돈이므로 세금 없습니다.
Q5. 청약통장 이자도 세금이 나오나요? A. 연 이자 2,000원 정도는 거의 무관. 큰 이자는 이자소득세 가능.
Q6. 청약통장과 연금저축 공제를 모두 받을 수 있나요? A. 네, 모두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Q7. 작년에 공제를 못 받았는데 지금 신청할 수 있나요? A. 경정청구로 5년 내 수정 신청 가능합니다.
Q8. 청약통장을 중단하면 공제도 중단되나요? A. 네, 납입하지 않으면 그 이후 공제 불가.
청약통장 공제 최대화 체크리스트 ✅
신청 전에 확인하세요!
자격 확인 ✅ 무주택 세대주인가?
✅ 배우자도 무주택인가?
✅ 청약통장 5년 이상 가입했나? (또는 종금 10년)
공제액 확인 ✅ 연간 몇 만원을 납입했나?
✅ 공제 한도는 240만원(저축) 또는 300만원(종금)?
✅ 실제 납입액 확인했나?
신청 ✅ 홈택스에서 자동 수집되나?
✅ 추가 서류 필요한가?
✅ 회사 연말정산 때 신청했나?
마무리
청약통장 소득공제는 집 마련과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제도입니다.
핵심 3가지:
- 무주택이어야 함 - 기본 조건 확인
- 연금저축과 함께 - 더 큰 절세 효과
- 꾸준히 납입 - 공제 지속
집을 마련하려는 분들이라면, 꼭 청약통장에 돈을 모으세요. 집도 사고 세금도 절감하는 일석이조!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소상공인 지원금과 세금'을 다룹니다. 소상공인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얼마나 될까요?
본 글은 2024년 세법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상담은 세무 전문가와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