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주식으로 1,000만원 벌었는데 세금이 300만원이래요"
    "양도소득세가 뭐예요?"
    "절세할 방법은 없을까?"

    요즘 주식 투자하는 직장인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주식 수익에 대한 세금, 즉 양도소득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양도소득세를 완벽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

    개념

    주식, 부동산 등을 팔아서 이득을 본 경우 내는 세금입니다.

    계산식

    • 양도소득세 = (판매가 - 매입가) × 세율

    예시

    • 삼성전자 매입가: 50,000원
    • 판매가: 60,000원
    • 수익: 10,000원
    • 세금: 약 2,000~3,000원

    세금을 내는 이유

    국가 정책

    • 투기 억제
    • 과도한 수익 제한
    • 재정 수입

    주식 양도소득세 기본 📋

    세율

    개인이 주식 매매 시

    • 20% (기본 세율)
    • 소득세 15% + 지방소득세 5%

    국내주식 vs 해외주식

    • 국내: 20%
    • 해외: 22% (추가 세금)

    공제 (매년 250만원)

    중요한 규칙

    • 연간 250만원까지 공제
    • 250만원 이하면 세금 0원
    • 250만원 초과분만 과세

    예시

    • 수익 100만원 → 세금 0원
    • 수익 300만원 → (300만-250만) × 20% = 10만원
    • 수익 1,000만원 → (1,000만-250만) × 20% = 150만원

    매우 유리한 공제!


    실전 양도소득세 계산 💰

    케이스 1: 소액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1,100만원
    • 수익: 100만원

    계산

    • 공제 250만원 - 수익 100만원 = 150만원 남음
    • 세금: 0원

    케이스 2: 중간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1,500만원
    • 수익: 500만원

    계산

    • 과세소득: 500만원 - 250만원 = 250만원
    • 세금: 250만원 × 20% = 50만원

    실제 세율

    • 50만원 ÷ 500만원 = 10% (명목 20%의 절반)

    케이스 3: 큰 수익

    상황

    • 매입가: 1,000만원
    • 판매가: 3,000만원
    • 수익: 2,000만원

    계산

    • 과세소득: 2,000만원 - 250만원 = 1,750만원
    • 세금: 1,750만원 × 20% = 350만원

    실제 세율

    • 350만원 ÷ 2,000만원 = 17.5% (명목 20%에 가까움)

    매매 수수료와 세금 🏦

    증권사 수수료

    거래 시마다 발생

    • 매입 수수료: 약 0.015%
    • 매도 수수료: 약 0.015%
    • 합계: 약 0.03% (증권사마다 다름)

    계산 예

    • 1,000만원 거래
    • 수수료: 약 3,000~5,000원

    세금과의 차이

    수수료 vs 세금

    • 수수료: 매번 거래 때마다
    • 양도소득세: 수익날 때만 (손실나면 안 냄)

    비용 처리

    • 수수료를 매입가에 포함 가능
    • 양도세금: 따로 계산

    예시

    • 주식 매입가: 1,000만원
    • 매입 수수료: 2,000원
    • 실제 손익분기점: 1,000만2천원

    양도소득세 신고 📅

    신고 시기

    매년 5월 1~31일

    • 전년도 주식 거래 신고
    • 손실도 신고 가능 (이월)

    신고 대상

    신고 필수

    • 수익이 250만원 초과
    • 손실이 있어도 신고 가능 (이월)

    신고 불필요

    • 수익 250만원 이하

    신고 방법

    방법 1: 홈택스 (무료)

    • 증권사 거래내역 자동 연계
    • 매매내역 자동 계산

    방법 2: 증권사 (무료)

    • 증권사에서 신고 자료 제공
    • 홈택스에 제출

    방법 3: 세무사 (수십만원)

    • 복잡한 거래 처리
    • 절세 상담

    손실 이월 활용 💡

    손실 이월이란?

    개념

    • 올해 손실 → 내년에 수익과 상쇄
    • 여러 해 손실을 계속 이월 가능

    조건

    • 손실도 신고해야 함 (안 하면 이월 불가)
    • 양도소득 있는 해 이월 사용

    실제 예시

    1년차

    • 주식 거래 손실: -200만원
    • 신고: 손실 신고함

    2년차

    • 주식 거래 수익: 400만원
    • 이월손실: -200만원 활용
    • 실제 과세소득: 200만원
    • 세금: (200만-250만) = 음수 → 0원

    손실이 수익을 모두 상쇄!

    손실 신고 방법

    필수 확인

    1. 손실액 정확히 계산
    2. 매매 내역서 준비
    3. 5월에 홈택스 신고 (수익 없어도)
    4. "손실금액 이월" 신청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전략 1: 연간 250만원 한도 활용

    상황

    • 수익이 많은 해: 일부 매매 미룸
    • 연간 250만원씩 나눠서 실현

    예시

    • 총 수익 1,000만원
    • 1년에 250만원씩 4년 나눠 실현
    • 세금 0원 (매년 250만원 공제)
    • vs 1년에 다 판 경우: 150만원

    절세: 150만원

    실제 가능성

    • 장기보유 주식은 가능
    • 단기 수익 실현은 어려움

    전략 2: 손실 종목 의도적 실현

    상황

    • 손실난 주식 있음
    • 수익난 주식도 있음

    전략

    • 손실 종목 먼저 팜
    • 수익 종목과 상쇄
    • 세금 최소화

    예시

    • 수익 주식: 500만원 수익
    • 손실 주식: -200만원 손실
    • 손실 종목 판매 → 실제 수익 300만원
    • 세금: (300만-250만) × 20% = 10만원

    전략 3: 배우자와 분산

    조건

    • 배우자 명의로 투자
    • 각각 독립적으로 계산

    예시

    • 남편 수익: 400만원 → 세금 30만원
    • 아내 수익: 400만원 → 세금 30만원
    • 합계: 세금 60만원

    vs 남편 명의만:

    • 수익 800만원 → 세금 110만원

    절세: 50만원

    전략 4: 펀드·ETF 활용

    상황

    • 개별주식보다 소득세 낮음
    • 배당금에 대해 사전징수

    확인

    • 펀드 수익: 과세
    • ETF 수익: 주식과 동일

    손실 VS 이익 실현 시점 ⏰

    언제 파는 것이 유리한가?

    250만원 이하 수익

    • 언제 팔든 세금 0원
    • 시간 낭비 말고 바로 팔기

    250만원 초과 수익

    • 연간 일부만 실현
    • 여러 해에 분산

    손실난 주식

    • 연말에 정산
    • 다음해 수익과 상쇄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주식으로 100만원 벌었는데 세금을 안 내도 되나요? A. 네, 250만원 공제 범위 내이므로 세금 0원입니다.

    Q2. 여러 주식을 샀다 팔았는데 어떻게 계산하나요? A. 모든 거래를 합산합니다. 총 수익에서 250만원 공제.

    Q3. 손실이 났는데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필수입니다. 다음해 이월하려면 신고 필수.

    Q4. 해외 주식도 세금을 내나요? A. 네, 22% 세금 (국내 20% + 추가 2%).

    Q5. 주식으로 큰 수익을 냈는데 세금을 줄일 방법은? A. 손실 주식과 상쇄, 여러 해 분산, 배우자 분산 등.

    Q6. 적자난 해도 신고하지 않으면? A. 나중에 이월하지 못합니다. 꼭 신고하세요.

    Q7. 회사에 주식 수익이 들킬까요? A. 양도소득세는 회사에 통보 안 됩니다. 개인 신고입니다.

    Q8. 주식을 여러 계좌에서 거래하면? A. 모두 합산됩니다. 계좌 수는 무관.


    양도소득세 신고 체크리스트 ✅

    신고 전에 확인하세요!

    준비 ✅ 모든 주식 거래 내역 확인했나?
    ✅ 매입가·매도가·거래일 정리했나?
    ✅ 손실 거래도 포함했나?
    ✅ 증권사 거래확인서 받았나?

    계산 ✅ 총 수익 계산했나?
    ✅ 손실 이월분 확인했나?
    ✅ 과세소득 계산했나?
    ✅ 예상 세금 계산했나?

    신고 ✅ 5월 30일 전에 신고했나?
    ✅ 홈택스 연계 확인했나?
    ✅ 손실 이월 신청했나? (필요시)
    ✅ 신고 영수증 보관했나?


    마무리

    주식 양도소득세는 250만원 공제가 핵심입니다. 이것만 제대로 이해해도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는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핵심 3가지:

    1. 250만원 공제 - 가장 중요한 규칙
    2. 손실 이월 - 손실도 꼭 신고하기
    3. 분산 전략 - 여러 해에 나눠서 실현

    요즘같이 주식 투자하는 사람 많은 시대, 세금을 제대로 알고 투자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해외주식 세금 처리'를 다룹니다. 요즘 유행하는 해외 투자, 세금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세요!


    본 글은 2024년 세법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상담은 세무 전문가와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