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이자나 배당소득이 발생한 소득자에 대해 소득 내역을 조회하고, 원천징수영수증을 출력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이 기능은 단순 조회 기능이 아닌, 실제 발행자 보관용 / 소득자 보관용 서식을 출력할 수 있는 실무 핵심 메뉴랍니다.

    입력은 앞서 설명드린 이자배당소득자료입력 메뉴에서 완료되어야 하고요. 오늘은 그 입력 자료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조회하고 서식 인쇄까지 마무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 이자배당 소득자료 조회, 왜 필요할까요?

    소득자료는 입력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에요. 반드시 정확한 조회와 출력이 뒤따라야 합니다.

    이 메뉴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들을 할 수 있어요:

    • 이자·배당 소득 자료 조회
    • 소득자별 소득 세부내역 확인
    • 소액부징수 여부 확인
    • 소득자/발행자 보관용 원천징수영수증 출력

     


    🧾 소득자료 조회하는 방법

    1. 조회기준과 기간 설정

    가장 먼저 조회 기준을 선택해야 해요.

    • 1.귀속년월 : 소득이 발생한 기준
    • 2.지급년월 : 실제 지급 기준

    그 후 조회할 월 또는 기간을 입력하면, 해당 시점의 소득자료가 자동으로 불러와집니다.

    2. 소득자 정보 자동반영

    해당 기간에 소득이 존재하는 소득자만 자동으로 리스트에 표시돼요.

    • 이름, 주민번호가 좌측에 표시
    • 하나 또는 여러 명 선택 가능
    • 선택된 소득자만 출력 대상 🎯

     


    💸 조회된 소득자료 확인

    조회된 정보는 다음 항목들로 구성돼 있어요:

    • 소득구분
    • 금융상품명
    • 귀속월, 지급일자, 영수일자
    • 지급총액, 세율, 소득세, 지방소득세, 법인세, 농특세, 세액합계

    하단에는 각 항목의 연간 총합계도 자동 집계됩니다.

    특히 중요한 건 두 가지!

    🔸 소액징수계: 소득세가 1,000원 미만으로 부과되지 않은 소득 총액

    🔸 소액제외계: 실제 과세된 소득 합계

    이 항목은 소득세 신고 시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반드시 확인하세요.

     


    🖨 원천징수영수증 출력하기

    출력은 아주 간단합니다. 소득자를 선택한 후,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끝! 하지만, 출력 방식은 3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

    1. 인쇄옵션 설정

    출력 전에 원하는 방식으로 인쇄 형식 설정이 가능해요.

    • 0.지급건별
    • → 한 건 한 건 따로 출력 (건수만큼 페이지 분할)
    • 예: 3건이면 3페이지
    • 1.소득자별
    • → 한 명 기준으로 소득 전체를 한 페이지에 출력
    • 예: 3건이어도 한 페이지
    • 2.귀속월별
    • → 같은 귀속월을 기준으로 묶어서 출력
    • 예: 3건 중 2건이 같은 귀속월이면 1페이지로 출력됨

    Tip!

    소득자에게 제공할 때는 소득자별,

    내부 정리용은 지급건별이 적합해요.

     


    📌 알아두면 좋은 팁

    마감이 완료된 자료는 조회 가능하지만 수정 불가

    조회 후에도 소득세 0원인 건은 소액부징수로 자동 표기

    지급명세서 제출용 출력은 별도 메뉴 이용


    이렇게 오늘은 이자배당소득자료입력 후 조회와 원천징수영수증 출력 방법까지 모두 정리해보았어요! 😊

    이 메뉴는 연말정산이나 금융소득 신고 시 꼭 필요한 자료가 생성되는 기능이라 실수 없이 정확하게 다뤄야 해요.

    혹시 이 메뉴 사용하면서 출력 형식이 헷갈리거나, 어떤 기준으로 소득자가 누락되었는지 고민이 있으셨나요?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