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배당금을 받으면 세금이 나오나요?"
    "얼마나 떼가나요?"
    "배당금과 양도소득세는 다른 건가요?"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자주 받는 배당금. 이 배당금도 세금 대상이라는 거 아시나요?

    오늘은 배당금 세금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배당금 세금의 기본 📋

    배당금이란?

    개념

    • 기업이 번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
    • 주가 상승과 무관하게 정기적 수익
    • 연 1~4회 분배 (기업마다 다름)

    예시

    • 삼성전자 주가: 70,000원
    • 보유 주식: 10주 = 700,000원
    • 배당금: 주당 800원 = 8,000원 수령

    배당금 세금 기본

    배당소득세: 15.4%

    • 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 자동 원천징수 (받을 때 바로 떼감)

    실제 계산

    배당금 세금 (15.4%) 실수령

    100만원 154,000원 846,000원
    500만원 770,000원 4,230,000원
    1,000만원 1,540,000원 8,460,000원

    배당금 세금의 2가지 방식 🆚

    방식 1: 분리과세 (기본)

    개념

    • 15.4%를 한 번에 떼감
    • 다른 소득과 합산 안 함
    • 가장 간단한 방식

    특징

    • 별도 신고 불필요
    • 복잡함 없음
    • 모든 배당금에 기본 적용
    • 국세청이 이미 처리됨

    어떻게 처리되나?

    1. 배당금 1,000만원 지급
    2. 증권사가 15.4% 계산 (154만원)
    3. 실수령액 846만원 입금
    4. 증권사가 국세청에 자동 보고
    5. 신고 완료 (개인이 할 일 없음)

    방식 2: 종합과세 (선택)

    개념

    • 배당금을 다른 소득과 합산
    • 누진세 적용
    • 복잡하지만 유리할 수 있음

    선택 조건

    • 연간 배당금 2,000만원 초과만 가능
    • 2,000만원 이하는 분리과세만 가능
    • 본인이 신청해야 함 (자동 아님)

    어떻게 처리되나?

    1. 배당금 3,000만원 수령
    2. 증권사가 15.4% 떼남 (462만원)
    3. 실수령액 2,538만원 입금
    4.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때 배당금 신고
    5.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누진세율 재계산
    6. 결과에 따라 추가 납부 또는 환급

    2,000만원 기준의 중요성 🔑

    2,000만원 이하: 분리과세만 가능

    상황

    • 연간 배당금: 1,500만원
    • 다른 소득: 없음

    세금 계산

    배당금: 1,500만원
    - 세금 (15.4%): 231만원
    = 실수령: 1,269만원
    

    결과

    • 추가 신고: 필요 없음
    • 세금: 확정 (231만원)
    • 기타 소득: 무관

    2,000만원 초과: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선택 가능

    상황 A: 분리과세 유지 (기본)

    • 연간 배당금: 3,000만원
    • 다른 소득: 없음

    계산

    배당금: 3,000만원
    - 세금 (15.4%): 462만원
    = 실수령: 2,538만원
    

    상황 B: 종합과세 선택

    • 배당금 3,000만원
    • 자동 떼인 세금: 462만원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배당금: 3,000만원
    누진세율: 약 20~24% (배당금만으로 계산)
    재계산 세금: 약 600~720만원
    추가 납부: 138~258만원
    실수령: 2,280~2,400만원
    

    분리과세(2,538만원)가 더 유리!


    배당금 + 근로소득이 있을 때 💰

    상황

    • 근로소득 (월급): 4,000만원
    • 배당금: 2,500만원
    • 다른 소득: 없음

    분리과세 (추천)

    배당소득 처리

    배당금: 2,500만원
    - 배당세 (15.4%): 385만원
    = 실수령: 2,115만원
    

    근로소득 처리

    • 월급에서 원천징수된 세금
    • 별도로 계산 (연말정산)

    최종 결과

    • 배당세: 385만원 (확정)
    • 근로소득세: 별도 계산 (환급/추징)
    • 두 개 완전히 분리

    종합과세 선택 시 (비추천)

    합산 처리

    배당금: 2,500만원
    근로소득: 4,000만원
    합계: 6,500만원
    
    누진세율 적용 (최고 구간)
    세금 대폭 증가!
    

    결과

    • 배당세 환급 없음
    • 추가 세금 발생 가능
    • 총 세금 증가

    분리과세 훨씬 유리!


    배당금 + 사업소득이 있을 때

    상황

    • 사업소득: 3,000만원
    • 배당금: 2,500만원

    분리과세 (추천)

    배당금

    2,500만원 × 15.4% = 385만원 세금
    

    사업소득

    3,000만원에 대해 별도 계산
    소득세 약 240만원
    

    총 세금: 625만원

    종합과세 시 (위험)

    합산

    배당금 + 사업소득 = 5,500만원
    누진세 적용 (고세율)
    총 세금: 약 800~900만원
    

    분리과세가 175~275만원 절세!


    배당금 절세 전략 🎯

    전략 1: 2,000만원 한도 유지

    상황

    • 현재 배당금: 1,800만원
    • 내년 예상: 2,300만원

    전략

    1. 배당금 많은 주식 일부 판매
    2. 또는 배당 재투자로 변경
    3. 연 2,000만원 이하 유지
    

    효과

    • 분리과세 (15.4%) 유지
    • 종합과세 (20~45%) 회피
    • 연 50~300만원 절세

    전략 2: 배우자와 분산 보유

    기본 상황

    • 본인 배당금: 2,500만원
    • 배우자 배당금: 0

    분산 전략

    본인: 1,500만원 주식 (배당금 약 1,000만원)
    배우자: 1,000만원 주식 (배당금 약 650만원)
    

    효과

    • 본인: 1,000만원 × 15.4% = 154만원 세금
    • 배우자: 650만원 × 15.4% = 100만원 세금
    • 합계: 254만원 세금

    vs 본인만 소유

    • 1,650만원 배당금 × 15.4% = 254만원
    • 같은 세금... 아니면 차라리 배우자가 종합과세 선택하면?
    • 배우자 소득 없으면 환급 가능성!

    전략 3: 배당금 높은 주식 선별

    수익률 비교

    • 양도소득 (주가 상승): 20% 세율
    • 배당금 (정기 수익): 15.4% 세율

    전략

    저 배당금 + 고 성장주 → 판매 회피
    고 배당금 주식 → 배당 수익 추구
    

    효과

    • 배당금이 더 세금 효율적
    • 양도소득세 회피
    • 정기 현금 흐름 확보

    전략 4: 배당금 수령과 재투자 조합

    상황

    • 배당금: 월 50만원 (연 600만원)

    전략

    1월~11월: 배당금 재투자 (세금 0원)
    12월: 배당금 수령 (일부만)
    

    효과

    • 배당세 최소화
    • 복리 투자 효과 극대화
    • 단기 현금 확보

    배당금 신고와 신청 📋

    분리과세 (자동)

    해야 할 일

    • 없음! (자동 처리)
    • 증권사가 국세청에 보고
    • 개인은 신고 불필요

    확인 방법

    • 홈택스에서 배당금 내역 확인 가능
    • 통상 1월에 조회 가능

    종합과세 신청 (선택)

    신청 조건

    • 연 배당금 2,000만원 초과
    • 본인이 신청해야 함

    신청 방법

    1. 홈택스 접속
    2. 종합소득세 신고
    3. 배당소득 섹션
    4. "종합과세 선택" 체크
    5. 배당금 내역 입력
    6. 신고 완료

    신청 시기

    • 5월 1~31일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 그 외 시기는 불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배당금 15.4%는 확정인가요? 더 낼 일 없나요? A. 분리과세면 확정. 추가 세금 없음. 종합과세 선택하면 변경 가능.

    Q2. 배당금 2,000만원을 정확히 받으면? A. 이하면 분리과세만 가능. 초과하면 선택 가능 (분리 또는 종합).

    Q3. 종합과세로 선택했는데 환급받을 수 있나요? A. 가능. 배당금 외 다른 소득이 적으면 환급 가능성 있음.

    Q4. 해외 주식의 배당금도 한국 세금 내나요? A. 네. 그 나라 세금 + 한국 세금 이중 과세 가능. 조약 확인 필수.

    Q5. 배당금을 받지 않고 재투자하면 세금이 안 나오나요? A. 맞음. 배당금을 받아야 세금 발생. 재투자면 0원.

    Q6. 손실 본 주식의 배당금도 세금 내야 하나요? A. 네. 배당금은 별도 소득. 주가 손실과 무관하게 세금.

    Q7. ETF 배당금도 세금이 15.4%인가요? A. 네, 배당금은 모두 15.4% (분리과세 시) 동일.

    Q8. 배당금으로 나온 세금을 이월할 수 있나요? A. 불가능. 배당세는 환급만 가능 (이월 불가).


    배당금 세금 체크리스트 ✅

    배당금을 받을 때 확인하세요!

    배당금 현황

    ✅ 연간 배당금이 얼마인가?
    ✅ 배당금을 어디서 받나?
    ✅ 배당금 수령 주기는?

     

    세금 확인

    ✅ 자동 떨어진 15.4% 세금 확인했나?
    ✅ 2,000만원 기준 넘나?
    ✅ 다른 소득과 합산되면 유리한가?

     

    신고 준비

    ✅ 배당금 명세서 받았나?
    ✅ 종합과세 선택할 건가?
    ✅ 5월 신고 계획 있나?


    마무리

    배당금 세금은 자동 원천징수되므로 간단합니다. 하지만 2,000만원 초과 시 선택이 중요합니다.

    핵심 3가지:

    1. 15.4% 자동 처리 - 분리과세는 간단하고 유리
    2. 2,000만원 기준 - 초과하면 선택 가능 (대부분 분리과세 유리)
    3. 배우자 분산 - 효과적인 절세 방법

    배당금을 받으실 때마다, 이 3가지만 기억하세요!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펀드 세금과 신고'를 다룹니다. 펀드 수익도 과세 대상일까요?


    본 글은 2024년 세법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상담은 세무 전문가와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