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이제 PC뿐 아니라 모바일 앱 ‘손택스’를 통해서도 가능해졌습니다. 홈택스와 손택스 모두 전자신고를 지원하면서 많은 납세자들이 “어느 쪽이 더 편리하고 정확할까?”를 고민하게 됩니다. 특히 신고 경험이 없거나, 간편인증을 선호하는 사용자라면 두 플랫폼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홈택스(PC)와 손택스(모바일)의 기능 차이, 인증 방식, 신고 대상, 편의성과 한계까지 비교 분석해드립니다.

    홈택스(PC) 신고의 특징과 장점

    • 복잡한 소득 구조 입력 가능: 사업, 금융, 연금 등 지원
    • 경비 정밀 입력: 항목별 계정과목 세부 설정 가능
    • 장부 제출 가능: 복식장부, 성실신고 대상자 제출 가능
    • 모든 공제 항목 입력 가능: 의료비, 기부금 등 전부 직접 입력

    단점: 보안 프로그램 설치, 복잡한 UI, 초보자에겐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

    인증 방식: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지문인증 등

    손택스(모바일) 신고의 특징과 장점

    • 간편한 UI: 누구나 10분 내 신고 가능
    • 간편인증 기반: 카카오, 네이버, PASS 중심
    • 자동 불러오기 기능 강화: 소득, 공제 자동 수집
    • 신고 완료 푸시 알림 제공

    단점: 복잡한 소득 구조 미지원, 장부 제출 불가, 공제 항목 제한

    인증 방식: 간편인증, 생체인증, 공동인증 연동 가능

    기능 및 항목 비교표

    항목 홈택스 (PC) 손택스 (모바일)
    소득 항목 입력 모든 항목 지원 단일 소득 위주
    경비 입력 항목별 상세 가능 간편 자동 계산
    공제 입력 전체 수동 입력 가능 일부 간소화
    인증 방식 공동 + 간편 인증 간편 인증 중심
    장부 제출 가능 불가
    성실신고 대상자 지원 미지원
    사용자 편의성 복잡 매우 간편
    추천 대상 자영업자, 고소득자 프리랜서, 단순소득자

    결론: 소득 구조와 상황에 따라 플랫폼 선택하자

    홈택스와 손택스는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합니다. 소득이 단순하고 경비나 공제 항목이 적다면 손택스로 빠르게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반면, 복잡한 사업구조, 다양한 수입원이 있는 납세자는 홈택스를 통해 보다 정밀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나의 소득 유형과 편의성, 절세 전략을 고려해 적절한 신고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2025년 성공적인 종합소득세 신고의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