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실무에 꼭 필요한 회계 지식을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오늘은 WEHAGO SmartA 10 사용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메뉴!
    바로 **"사업장등록"**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이 메뉴는 사회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 관련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이에요!


    📌 사업장등록 메뉴란?

    사회보험 업무를 전산 처리하기 위해 사업장 정보를 등록하는 메뉴입니다.

    등록한 정보는 아래의 모든 사회보험 메뉴에 자동 반영됩니다:

    • 사업장관리번호
    • 사용자 정보
    • 4대보험 번호
    • 급여 데이터 연동 등

    즉, 사업장등록은 사회보험 관련 메뉴 사용의 출발점이에요! 🚀


    🧾 처음 실행 시, 사업장코드부터 설정!

    처음 메뉴를 실행하면 ‘사업장코드’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떠요.
    이때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의미 및 사용법
    10번 회사등록 메뉴에 입력된 정보를 자동 반영. 주사업장용으로 필수!
    99번 임시코드, 사회보험 메뉴에서는 사용 가능하나, 사업장등록 메뉴에서는 사용 ❌
    기타 (11~98) 사용자 자유 설정 가능 코드

    ⚠️ 사회보험 데이터를 자동 연동하고 싶다면 꼭 10번 코드를 사용하세요!


    ✍️ 입력 항목 안내

    ✅ 1. 기본사항

    • 회사등록 메뉴에서 입력한 회사명, 사업자번호, 대표자 정보 등이 자동 반영돼요.
    • 필요한 경우 담당자 정보, 대표자 생년월일 등을 추가로 입력하세요.

    ✅ 2. 국민/건강, 고용/산재 정보

    • 국민연금 사업장관리번호
    • 건강보험 사업장번호
    • 고용/산재보험 관리번호

    이 정보는 사회보험 신고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만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 3. 공동사업자

    • 공동사업일 경우, 공동대표자의 인적 사항 및 관계를 입력합니다.
      (예: 배우자, 자녀, 부모 등)

    🛠 편리한 기능 모음

    ☑️ 1. 회사등록 불러오기

    기존에 입력한 회사정보를 그대로 가져올 수 있어요.

    • 특히 10번 코드를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불러오고 연동까지 됩니다.
    • 기존 정보가 있으면 삭제 후 다시 불러오기 가능해요.

    ☑️ 2. 단일 사업장 사용 설정

    하나의 사업장만 사용하는 경우에 체크하면 됩니다.

    • 다중 사업장 관리가 필요 없는 기업이라면 꼭 설정해 주세요.

    💡 실무 팁

    • 사업장 정보가 잘못 등록되면, 사회보험 신고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 특히 고용/산재/건강/국민연금 관리번호는 실제 가입 정보와 일치해야 합니다.
    • 처음부터 정확하게! 설정하시면 사회보험 업무가 훨씬 수월해져요. 😊

    ✅ 마무리하며

    사업장등록은 단순한 입력 메뉴가 아닙니다.
    WEHAGO SmartA 10의 사회보험 기능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한 필수 설정이에요!
    초기 설정이 올바르게 되어 있어야 이후 급여, 4대보험 신고, 원천징수 등
    모든 기능이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