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1단계: 즉시 할 일
- 소액결제 차단 또는 한도 최소화
- KT 고객센터(114) 또는 KT 고객 앱/웹에서 "소액결제 차단"을 신청하거나 한도를 ‘0원’으로 설정.
- 필요할 때만 다시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관리.
- 결제·이상 내역 확인
- 최근 휴대폰 소액결제 내역, 통신요금 명세서 확인.
- 본인 모르게 이루어진 결제 있으면 즉시 KT에 신고.
- 유심(USIM) 교체 요청
- 가까운 KT 대리점 방문 → 무료 교체 가능.
- 불법 펨토셀로 탈취된 IMSI 등 개인정보 악용 가능성 차단.
📌 2단계: 예방을 위한 보안 강화
- 본인인증 수단 점검
- 비밀번호, PIN, 패턴 변경.
- 가능하다면 지문·페이스ID 같은 생체 인증으로 변경.
- 스미싱/피싱 차단
- 알 수 없는 문자·링크 클릭 금지.
- KT ‘스팸차단 앱’ 또는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앱 설치.
- 알림 설정
- KT 앱에서 "결제 알림", "로그인 알림" 등을 반드시 켜두기.
- 의심 내역이 있으면 바로 확인 가능.
📌 3단계: 혹시 피해가 의심된다면
- KT 고객센터(114) 신고
- "소액결제 피해 접수" 요청 → 결제 취소 및 추후 보상 절차 진행.
-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182 또는 cyberbureau.police.go.kr)
- 금전 피해가 있으면 법적 증거 확보 및 수사 협조 필수.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상담 (118)
- 추가 보안 조치 및 피해 구제 상담 가능.
📌 4단계: 장기적으로 할 일
- 정기적으로 소액결제 내역 및 통신요금 확인
- 불필요한 본인인증/자동결제 서비스 해지
- KT·정부의 보상/대응 정책 확인 (추후 보상 가능성 있음)
👉 지금 상황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 소액결제 차단, 2) 유심 교체, 3) 내역 확인이야.
이 3가지만 바로 실행해도 대부분의 피해는 예방 가능해.
반응형